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파이썬
- 양자역학
- Amazon's Antitrust Paradox
- 다중 레이블 분류
- 이진분류
- 아마존의 반독점 역설
- 얽힘상태
- 머신러닝
- 다중큐빗
- 전자중첩
- 알고리즘
- 플랫폼 독점
- 리나칸
- 검증 데이터
- 트리의지름
- Bottom Tab Navigator
- 빅테크 이슈
- 나의 첫 머신러닝/딥러닝
- Lv3
- 줄 서는 방법
- 머신러닝 교재
- 단일큐빗
- 양자우위
- 트리
- 다중분류
- qubit
- Top Tab Navigator
- NISQ
- 프로그래머스
- 머신러닝 검증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심심할 때 하는 코딩 (1)
엄지척 블로그

위 파이썬 코드는 www.instagram.com/p/CJNdzNJAU2x/?igshid=9r3xy9bkclvn 인스타그램에서 출저. 버스 안에서 인스타그램 하다가 해당 게시글을 봤는데 한번 짜보고 싶다는 마음에 해당 게시글의 코드를 그대로 짜서 구현을 하게 되었다. 최종 결과물은 위 사진처럼 나오게됨. 트리 그리는 순서는 1. 트리 밑에 뿌리에서 시작에서 쭈욱 올라간다음 2. 별을 for 문을 5번 돌면서 그리게 되고 3. 재귀함수를 돌면서 트리의 곁가지들을 그리게 됩니다. 4. 마지막으로 tomato 색 점들과 wheat 색 점들을 랜덤으로 찍게 됩니다 위 코드를 보면서 재귀함수로 트리 곁가지 그리는 발상하고 별을 저렇게 찍는다는것이 참신했다는 ..ㅋㅋ from turtle import * impor..
심심할 때 하는 코딩
2020. 12. 27. 00:45